매일묵상
살전4:13~5:11 - 마지막 때에는 더욱 함께 위로하고 소망을 품어야 합니다.
데살로니가 전서 4:13~5:11절
마지막 때에는 더욱 함께 위로하고 소망을 품어야 합니다.
데살로니가 전서 4장 13절 부터는 데살로니가 교회의 물음에 대한 사도바울의 대답에 관한 것입니다.
그것은 마지막때와 관련된 질문으로 예수 안에서 죽은 자들, 특히 재림을 보지 못하고 죽은 자들이 어떻게 되는가의 문제와 그에 합당한 삶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4:13~18절까지는 마지막때에 대해서, 5:1~11절은 마지막때의 합당한 삶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바울은 먼저 13절에서 자는 자들에 관하여 이야기합니다.
이것이 바울의 죽음 인식이고 예수 안에서 죽은 자들의 모습임을 말합니다.
잔다는 것은 반드시 깨어날 것을 암시하지요.
바울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14 우리가 예수께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심을 믿을진대 이와 같이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도 하나님이 그와 함께 데리고 오시리라”
당시 초대교회에 예수님의 부활을 믿어 의심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예수안에서 죽은 자들인데 바울은 그들은 예수 안에서 자는 자들이고 하나님이 마지막때에 깨어 함께 데리고 오신다고 말씀합니다.
바울은 16절 이하에서 주님의 재림의 모습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우리가 이 부분을 볼 때 주의 할 것은 바울이 여기에서 비유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기에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안되지요.
뿐만 아니라 사도바울은 여기에서 재림의 현상을 설명하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바울은 지금 주님께서 반드시 이땅에 오시고 그때에 예수안에서 죽은 자들은 마지 잠자는 자가 일어나는 것처럼 부활하여 주님과 함께 영원히
거한다는 것을 말하면서 이것이 지금 고난과 환란을 당하는 자들, 그리고 그속에서 죽어가는 이들의 소망이되기 바란것이지요.
그러기에 18절에서 이렇게 말씀합니다.
18 그러므로 이러한 말로 서로 위로하라
지금 고난과 아픔가운데 있지만 그때를 소망하면서 서로를 위로 하라는 것이지요.
5장에서는 때와 시기에 대해서 말하는데, 바울은 마지막 때를 주의 날이라고 말하면서 그날은 반드시 온다고 말합니다.
다만, 마치 밤에 도둑같이, 임신한 여자에게 해산의 고통이 이름과 같이, 갑자기 이르게 되어서 그 때와 시기는 알수 없다고 말합니다.
여기서 밤이라는 것은 죄악으로 가득한 시기 어쩌면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말하지요.
이런 시대속에서 주의 날이 도둑같이 임하게 된다는 것이지요.
이것이 사도바울의 마지막과 관련된 가장 기본적인 태도입니다.
그런데 4절에서는 이렇게 말합니다.
4 형제들아 너희는 어둠에 있지 아니하매 그 날이 도둑 같이 너희에게 임하지 못하리니
이것이 어둠에 있지 않은 우리는 그날을 알 수 있다는 말일까요?
기본적으로 그 날은 하나님의 주권에 속한 영역입니다.
그러기에 우리가 그 날과 시를 명확히 알수 없지요(행1:7, 마24:36)
4절의 의미는 그날과 그시는 정확히 알수 없지만, 그날에 대한 감각은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 감각으로 마지막 때, 주의 날을 준비하면서 살아가야 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6절에서 깨어 정신을 차리라고 말하면서 영적으로 방심하지 말고 준비하기를 바라는데, 바울은 구체적으로 두가지를 말합니다
첫째로 8절에서 이렇게 말씀합니다.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을 붙이고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
호심경이라는 흉배라고도 하는데, 가슴, 심장을 지키는 방패를 말하지요.
바울은 이것을 믿음과 사랑의 호심경이라고 말하지요.
이 믿음과 사랑이 나의 심장, 생명을 지키는 것임을 말합니다.
또한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쓰자라고 말하지요.
투구는 우리의 머리를 보호하는 것으로 우리의 생각과 관심이 구원의 소망가운데 있어야 함을 말합니다.
우리는 시험과 환란속에서 끝임없이 우리의 생명이 위협받고, 그때마다 생각과 마음이 흔들리지요.
그때마다 우리는 믿음과 사랑의 흉배, 구원의 소망의 투구를 든든히 써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킬뿐 아니라 서로서로의 마음과 생각을 지켜주어야 하지요.
그래서 바울은 11절에서 이렇게 권면합니다
11 그러므로 피차 권면하고 서로 덕을 세우기를 너희가 하는 것 같이 하라
마지막 때를 살아간다는 것은 하나님 나라를 소망하며 꿈꾸는 것입니다.
그것은 나 혼자만 구원받는 나라가 아닙니다.
함께 구원받는 나라입니다.
이를 위해서 개인주의적 신앙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서로의 믿음과 소망을 북돋아 주는 위로와 권면이 필요합니다.
하반기 우리 또한 더 사랑하고 더 격려하고, 더 위로하면서 함께 하는 신앙을 회복해 가길 간절히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성경이 말하는 나(6월 2일 주일 설교중에서..)
장수현
|
2024.06.02
|
추천 1
|
조회 15841
|
장수현 | 2024-06-02 | 1 | 15841 |
2 |
20200502 - "겸손하나 당당하게"(시2:1~12)
이 인호
|
2020.05.02
|
추천 5
|
조회 5389
|
이 인호 | 2020-05-02 | 5 | 5389 |
1 |
20200501 - "인정하시는 삶"(시1:1~6) (1)
이 인호
|
2020.05.01
|
추천 5
|
조회 5751
|
이 인호 | 2020-05-01 | 5 | 5751 |
농협 100054-55-001851 (예금주 길가에교회) *계좌이체시 헌금을 구분해주시고 주민번호 뒷자리를 써 주세요. (예: 십일조헌금: 십+ 주민번호 뒷자리 주일헌금: 주+ 주민번호 뒷자리 감사헌금: 감+ 주민번호 뒷자리 선교헌금: 선+ 주민번호 뒷자리)